신남방정책, 국가별 맞춤 전략 필요
상태바
신남방정책, 국가별 맞춤 전략 필요
  • 신진선 기자
  • 승인 2018.12.13 14:5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KOTRA 권평오 사장 기고

[코리아포스트 한글판 신진선 기자] 지금 전 세계에서 가장 역동적인 곳은 아세안과 인도이다. 이 지역에서는 한류 인기도 높아 K팝과 드라마 등 문화 영역에 머물러 있는 한류를 어떻게 산업 및 정책 한류로 확산시켜 상생번영을 추구할지 많은 고민을 하게 된다.

문재인 대통령이 1년 전 신남방정책을 천명해 '사람 중심의 평화와 번영의 공동체' 비전을 밝혔듯이, 한류 인기를 산업 및 정책 분야로 확산시켜 상생번영을 추구하면 이들 지역에서 영향력이 큰 일본의 아성 및 중국의 자금 공세와 차별화된 우리의 강점이 될 수 있다. 이런 강점을 살리려면 나라별로 세심한 진출 전략이 요구된다.

▲ KOTRA 권평오 사장

아세안은 10개국으로 구성돼 있어 경제발전 수준과 원하는 협력 수요가 다르기 때문에 국가별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전략이 필요하다. 자칫 개별적 특수성을 무시한 채 평균 잣대로만 접근하면 어느 나라도 만족시키지 못하는 우를 범할 수 있다. 따라서 상대국의 경제개발계획을 토대로 니즈를 정확히 파악해 분야별로 우리의 강점과 연계해 접근해야 한다.

그리고 K팝 등 문화 영역의 한류에 국한되지 말고 우리의 정책 및 산업 발전 경험을 공유하는 한 차원 높은 접근이 요구된다. 아세안은 한류의 진원지인 만큼 한류가 현지 소비 시장 진출을 확대하는 활력소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런데 태국 등에서는 한국이 K팝 등의 인기에 기대어 화장품과 소비재의 상품 수출에만 집중하는 등 너무 단선적으로 접근한다는 볼멘소리도 나오고 있다. 따라서 이제는 경제협력의 수준을 한 단계 끌어올려 상생번영을 추구해 나가야 한다.

문화만이 아닌 산업 영역으로 한류를 확산하려면 우리의 경제 개발 노하우를 진정성 있게 공유해야 한다. 한 예로 한국은 베트남과 휴대폰 및 가전 제조 분야에서, 인도네시아와 자동차 및 조선해양 플랜트 분야에서 각각 산업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일방적인 이익 추구가 아니라 상생협력의 자세로 기술과 노하우를 전수하고, 한국의 주력 산업과 신남방국가들의 핵심 산업이 함께 글로벌밸류체인(GVC)을 구축해 실질적인 협력을 확대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와 함께 우리가 성공을 거둔 경제 발전 정책의 노하우도 적극 공유하려는 자세가 요구된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정부 간(G2G)의 유기적인 협력이 필요하고, 인프라스트럭처 구축 등을 위해서는 기업•정부 간(B2G) 협력을 기반으로 ODA(공적개발원조), CSR(기업의 사회적 책임), CSV(공유가치 창출)를 함께 제공하는 등 협력의 차원을 다양화해 다른 나라가 갖지 못하는 우리만의 차별화된 경제협력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이런 취지로 우리나라는 주요 국가별로 해당 정부와 공통의 협력 분야를 찾는 한국형 경제협력 모델인 'K패키지'를 만들고 있다. 이는 민간을 아우르는 양국 경제위원회에서 협의해 프로젝트를 발굴하고, 정부가 진행 사항을 모니터링하면서 기업들이 겪는 어려움을 해소해주는 방식이다.

필자가 사우디아라비아 대사로 있을 때 양국 정부 간의 가교 역할을 하면서 수립해 현재 40개 협력 프로젝트가 가동되고 있는 '한•사우디 비전 2030 협력'을 사례로 들 수 있다. 

우리에게 익숙한 아프리카 속담에 "빨리 가려면 혼자 가고, 멀리 가려면 함께 가라"는 말이 있다. 신남방정책이 나아갈 방향을 시사해주는 말인 것 같다. 신남방정책은 그동안 혼자서 앞만 향해 달리던 길을 멈추고, 뒤따라오는 신흥국들과 우리의 경제 개발 경험을 공유하면서 함께 동북아 번영 공동체로 나아가려는 글로벌 코리아의 전략이다. KOTRA는 해외무역관을 통해 해당국의 시장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다양한 협력 프로젝트를 발굴해 신남방정책이 효과적으로 추진되도록 앞장설 것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